[ONLINE] 기독교와 유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10:05
본문
Download : 기독교와 유교.hwp
그는 인간의 본성은 악이므로, 외면적·객관적인 예에 의해서만 수양이 완성된다고 생각하여 예를 강조하였다. 유교의 가장 …(skip)
순서





설명
기독교와 유교에 대한 글입니다. 맹자에 의하여 유교는 뚜렷하게 내면적으로 심화되고 또 정치론으로도 정비 되었으며 한편 오륜도 이 무렵에 처음 되었다. 얼마 후 순자가 나타나 맹자의 내면화에 반대 이론(理論)을 내세웠다. 그러므로 인간과 다른 동물간에는 넘을 수 없는 간격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인간의 성품은 육체적 욕구에 의해서 약해질 가능성이 남아있다 그리고 사람들의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을 파악하고, 윤리적 기반 위에서 인간과 사회가 공존함을 중시한다.
이에 반해 유교의 인간관은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고 있다 유교에서는 인간을 인, 의, 예, 지의 선한 본성을 갖고 있고 동시에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도덕적 능력을 갖춘 존재로 본다. 또 공자와 맹자가 존중하던 불가치인 하늘의 존재를 추방하고 인간의 독자적 입장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간이 하나님을 대신해서 모든 만물을 관리하고 다스리는 책임을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즉 자연의 지배자로 말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이 하나님의 명령을 거부하고 타락하여 하나님의 형상이 심히 파손되었으며, 세상 또한 크게 오염되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보내신 성령을 통해서 인간은 다시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존재로 회복될 수 있다고 말하고, 가장 이상적인 인간관은 그리스도를 닮은 인간이라고 말한다.기독교와유교 , 기독교와 유교자연과학레포트 ,
레포트/자연과학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기독교와 유교.hwp( 22 )
기독교와 유교에 대한 글입니다. 그래서 성경은 인간이 구원을 필요로 하는 존재라고 말한다.
기독교와 유교
다.
이처럼 근본윤리에서부터 기독교와 유교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다른 대표적인 차이점으로는 인간관이 있다
기독교에서의 인간관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존재를 말한다.기독교와유교
그 후 맹자가 나타나 인의 실천을 위한 의의 덕을 내세워 인의를 병창하였으며 또한 인간의 본성은 선이라 하여 내면적인 도덕론을 펴고,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로서의 왕도론을 주장하였다. 성경은 인간이 다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길은 그리스도를 믿는 길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