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18:40
본문
Download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hwp
교수설계의 가장 중요한 point적인 부분들이라 할 수 있겠다. 학습자에 대한 정확한 속성 analysis…(투비컨티뉴드 )
교수설계와 교수체제에 대한 기말시험 문제를 해답과 함께 쓴 글입니다. 또한 단순히 교수 내용을 어떻게 잘 조직하고 구성하여 效果적인 수업이 될 것인가에 대한 것보다는 어떻게 하면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보다 더 유발하고, 학습자들이 보다 더 교수내용에 대하여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 중점 두어져야 할 것이다.
교수설계를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교수목표(goal), 방법, 평가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느냐의 여부다. 따라서 교수설계는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Download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hwp( 82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






기말레포트(report) 1
설명
다. 일단 교수목표(goal)가 선정된 후에는 학습자에 대한 속성 analysis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수업이 끝났을 때, 학습자가 무얼 할 수 있기를 바라는지, 즉 수업의 최종목표(goal)는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 없이 교수설계과정에서 가장 point적인 부분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 나의 교수체제 개발모형
교수목적의 설정과 학습자 analysis
구체적 수업목표(goal) 결정
교수설계에 대한 평가 문항 개발
교수戰略 개발
교수 프로그램(program]) 실제 제작
교수 프로그램(program]) 중간 평가
총괄평가
교수 프로그램(program]) 수정
모든 theory(이론)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은 교수목적의 설정과 학습자 analysis이다.
교수설계와 교수체제에 대한 기말시험 문제를 해답과 함께 쓴 글입니다. Dick & Carey(1996)에 의하면, 效果적이며 성공적인 교수설계를 위하여 체제적 접근을 적용하는 이유는 각 구성요소들 특히 교수戰略과 기대하는 학습결과간의 관계를 주의 깊게 연결시키며, 또한 체제적 접근을 적용함으로써 평가결과에 의하여 기대하는 성과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수정(feed back)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기말레포트1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2. 교수체제 개발모형을 나름대로 구안하여 제시하여라.
바람직한 교수설계는 교수자와 학습자 어느 한쪽에 치중되어 설계되지 않고, 양자의 입장을 모두 고려한 것이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