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 이전의 서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5:43
본문
Download : 전도 이전의 서울.hwp






전도 이전의 서울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전도 이전의 서울.hwp( 13 )
,자연과학,레포트
《남북문화권(南北文化圈)의 경계지역인 서울지방 》현재의 서울지역은 북은 도봉산 · 북한산, 동북은 덕암산 · 천마산의 산악지대, 한강남쪽... , 전도 이전의 서울자연과학레포트 ,
현재의 서울지역은 북은 도봉산 · 북한산, 동북은 덕암산 · 천마산의 산악지대, 한강남쪽...
설명
순서
《남북文化(culture) 권(南北文化圈)의 경계지역인 서울지방 》
현재의 서울지역은 북은 도봉산 · 북한산, 동북은 덕암산 · 천마산의 산악지대, 한강남쪽으로는 남한산 · 관악산의 연봉으로 둘러 싸이고 서쪽이 고양(강북), 김포(강남)의 평야로 터진 한강강구 가까운 계곡지대이며 주거지로서 모든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신석기시대 이전의 구석기시대 즉 홍적세(洪績世, 약 200만년 전부터 1만년 전경)의 서울지역의 자연environment을 정확하게 복원할 수는 없으나 빙하기에는 해면 저하로 서울지구는 현재보다 해발고가 100m쯤 더 높고 황해도 육지이었기 때문에 서쪽을 향하여 무한히 걸으면 china으로도 갈 수 있었다.
서울지구에 구석기인들이 살았던 것 같은 흔적이 있으나 인류의 본격적인 거주는 역시 신석기시대부터이며 서울주변 산악지대와 평지와의 접촉지대에 그들 유적이 점철하고 있으며 그러한 유적들은 고양시 선유동, 파주시 덕은동, 광명시 소하동 등 상기 산악지대가 한강강구 평야를 끼고 나팔모양으로 개구하는 야산지대에서도 볼 수 있다 [註1] 다만 청계천 북쪽의 사면일대 즉 동소문동, 성북동, 혜화동, 계동, 가회동, 궁정동 등의 …(省略)
《남북culture권(南北文化圈)의 경계지역인 서울지방 》
다. 그러나 간빙기에는 다시 해면이 높아지고 신석기시대와 같은 지리environment으로 바뀌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