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5:23
본문
Download : 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hwp
도지이덕하고 제지이례이면 유치차격이니라.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덕으로써 이끌고 예로서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부정을 수치로 알고 착하게 된다된다.
11. 자왈 온고이지신이면 가이위사의니라.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것을 알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 능히 스승이 될 수 있다아
12. 자왈 군자는 불기니라.
군자 불기.
군자는 한가지 구실밖에 못하는 기물이나 기계가 아니다.
☞ 지덕체를 구비한 전인적인 인간을 말함
13. 자공이 문군자한대 자왈 선행기언이오 이후종지니라.
자공 문군자 자왈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공이 군자에 대하여 물으니 공자께서 먼저 하고자 하는 일을 행한 후에 말을 하는 사람이 군자다.
4. 자왈 오 십유오이지우학하고 삼십이립하고 사십이불혹하고
오 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고, 마흔에는 life(인생) 관이 확립되어 마음에 혼란(유혹)이 없고,
오십이지천명하고 육십이이순하고 칠십이종심소욕하야 불유구니라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쉰에는 천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고, 예순에는 어떠한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저절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일흔에는 내마음 대로 행동을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14. 자왈 군자는 주이불비 하고 소인은 비이부주니라.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군자는 두루 통하면서도 편파적이 아니며 소인은 편파적이면서도 통하지도 않는다.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논어해설(한국정치사상) , 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Download : 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hwp( 73 )
레포트/인문사회
논어 해설 (한국정치사상)
제 1 편 학 이( 學 而 )
제 2 편 위 정( 爲 政 )
제 3 편 팔 일 ( 八 佾 )
제 4 편 이 인 ( 里 仁 )
제 5 편 공 야 장 ( 公 冶 長 )
제 6 편 옹 야 (雍 也)
제 7 편 술 이 ( 述 而 )
제 8 편 태 백 ( 泰 伯 )
제 9 편 자 한 ( 子 罕 )
제 10 편 향 당 ( 鄕 黨 )
제 11 편 선 진 ( 先 進 )
제 12 편 안 연 ( 顔 淵 )
제 2 편 위 정( 위 정 )
♣ 정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수록하였다.
3. 자왈 도지이정하고 제지이형이면 민면이무치니라,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아니한다.…(투비컨티뉴드 )
설명
논어해설(한국정치사상)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