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 의사와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4:06
본문
Download : 의사와 사회.hwp
조선일보 1월 19일자 위기의 의사들 시리즈에 실린 기사이다. 히포크라테스 동상 밑을 지나며, 그의 선서를 가슴속에 새기며 `환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사들의 행위의지가 사실은 사회가 허용한 한계 안에서의 진료행위임을 우리는 이제 깨달아야 하지 않을까? 이제 의사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라는 사실을 우리는 망각해서는 안 된다 의사의 역할이나 지위는 사회적 산물인 것이다. `백혈병 환자에게 진토제인 조프란을 1회 8mg씩 하루에 3회, 최대 6회까지 투여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나와 있따 그러나 의료보험 규정은 2회 이상은 안 된다 어제 아침 무척 괴로워하는 환자에게 어쩔 수 없이 비보험으로 추가 처방을 해주는 불법을 저질렀다.
순서
지난 해 의사신문 8월 12일자에 난 기사의 タイトル(제목) 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 의사수가 급증하게 된 요인이 향후 필요한 의사 수에 대한 정확한 추계 보다 지역주민의 정치적 요구에 의해 주도되었음을 시사하는 많은 들이 있따 의사의 생계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의 하나인 의사수의 결정이 사회적, 정치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또 다른 예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 의사수가 급증하게 된 原因이 향후 필요한 의사 수에 대한 정확한 ...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의사와 사회.hwp( 21 )
의사와 사회
,의약보건,레포트
지난 해 의사신문 8월 12일자에 난 기사의 제목이다.`
한국보건정책연구원의 1996년도 조사에 의하면 67%의 의사들이 자녀를 의과대학에 보내지 않겠다고 하였으며,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의사는 0.4%에 …(생략(省略))
지난 해 의사신문 8월 12일자에 난 기사의 headline(제목)이다. 의료보험 규정 때문이다
최근 의료계를 분노하게 한 의료보험에 규정되지 않은 진료행위는 불법이다라는 법원판례가 위의 기사에 현실감을 더한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 의사수가 급증하게 된 원인이 향후 필요한 의사 수에 대한 정확한 ... , 의사와 사회의약보건레포트 ,
다.
최근에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를 살펴보면 의사들이 의사가 된 것을 회의하는 것 같다. `민주의사회`라는 단체가 올해 1월 13일 일간지에 실은 광고문구를 보자. `전국 수험생 여러분! 의과대학에는 절대 지원하지 마십시오. 군복무 포함해서 14년간 혹사당하며 어렵게 전문의를 따도 생계유지가 힘듭니다.` 국내 병,의원에서 환자 진료 결정권의 상당 부분은 의사에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