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와 학생의 관계성 이해- 부버 理論(이론)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0:28
본문
Download :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 이해- 부버 이론을 중심으로.hwp
지난 학기를 돌아보면 무엇인가 한 일은 많은 것 같은데 실제로 이루어 놓은 것은 별로 없는 것이 아닌가 후회가 되는 시점이다.
오늘날 학교에서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교육과정을 표면적 교육과정이라고 한다면 학교 文化(문화),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인격 등은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하여 교육학에서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런 잠재적 교육과정이 더욱 중요하리라 여겨지며 부버가 말했던 `나와 너`의 사상이 우리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한 의의가 있으리라 본다. 이것을 우리 학교 현실에 비추어 보아도 별로 틀린 말이 아니라고 본다. 그나마 그런 시간도 행정적인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것이 우선 순위가 되는 것이 현실이다. 숨가쁘게 달려온 1학기도 요점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Ⅱ. 부버가 말하는 `나와 너`와 교육에의 적용
현대인들은 스스로 사람으로서의 존엄을 송두리째 잃어 가는 인간소외의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인간소외의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일까? 마르틴 부버는 고도의 기술혁신에 의한 기계화가 인간의 비인간화, 자기 상실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이 이른바 …(To be continued )




Download :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 이해- 부버 이론을 중심으로.hwp( 22 )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 이해- 부버 理論(이론)을 중심으로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교사와_학생의_관계성_이해_1_
교사와_학생의_관계성_이해_1_ ,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 이해- 부버 이론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태인 철학자인 마르틴 부버는 상대방을 이용하려고만 하는 현대사회를 잘 파악하고 대표적인 저서 <나와 너>에서 `나와 그`, `나와 그녀`, `나와 그것`이 아닌 `나와 너`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Ⅰ. 머리말
Ⅱ. 부버가 말하는 ‘나와 너’와 교육에의 적용
Ⅲ. 맺음말
이제 여름방학이 얼마 남지 않았다. 교사도 시간에 쫓겨 제대로 아이들과 이야기할 수 있는 environment은 되지 못한다. 학기말을 잘 마무리하고 새로운 학기를 설계하는 데 이 연수 資料가 참고가 되길 바란다. `나와 그것`에서의 `나`와 `나와 너`에서의 `나`는 서로 다른 `나`이다. 아이들은 수많은 말을 하고 서로가 이야기하지만 진정으로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기보다는 형식적일 때가 많다.
사회학자인 리즈먼이 <고독한 군중>에서 이야기했듯이 현대인들은 모두가 개체로서의 떨어진 존재이자 많은 군중 안에서 고독을 느끼고 있다는 표현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