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6:53
본문
Download : 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hwp
셋째,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장하도록 한다.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 , 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다.
<표> 교사의 근무성적 평가요소와 기준
평정
사항
자질 및 태도
근무실적 및 근무수행능력
평정
요소
교육자로서의
품성
사명의식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교육연구,
담당업무
평정
기준
- 국민교육철학
- 겨레의 스승으로서의 자각
- 교육애의 발양
-일상언행·성격
- 자기수양·품위 유지
- 지시명령 수행
- 제반 복무
- 준법성
- 교내의 협동
- 지역사(歷史)회 계도
- 창안제출
- 개선의 적극성
- 교재연구
- 지도goal(목표) ·방법
- 수업의 질
- 평가
- 계획·방법
- 학생·가定義(정의) 이해
- 학생의 인성·진로지도
- 문제성향 학생 지도
- 경영안 활용
- 경영방침· 실천
- environment(환경) 구성
- 계획처리
- 연구수업
- 연구발표
- 자기연수
평정
점수
12
12
24
16
16
현행의 교원근무…(drop)
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
순서
Download : 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hwp( 37 )






교육평가장학의이해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사범교육,레포트
교육평가장학의이해와
교육평가장학의이해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근무성적평정은 다음 4가지 기준에 따라 평정해야 한다(교육부, 2000). 첫째, 직위별로 타당한 요소의 기준에 의하여 평정한다. 둘째, 평정자의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 근거에 의하여 평정한다. 교사의 평정요소와 기준을 정리(整理) 하면 다음 표와 같다. 그리고 근무성적평定義(정의) 내용은 교사용과 교감·장학사·교육연구사용으로 구분하고 있다 교사의 근무성적평정은 자질 및 태도, 근무실적 및 근무수행능력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넷째, 피평정자의 근무성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한다.설명
가. 교원평가제도의 present condition
우리 나라의 교원평가는 교육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근무성적평정제도를 들 수 있다 이 제도는 1969년 12월 4일에 공포된 대통령령 제 4393호 ‘교육공무원승진규정’이 의하여 교육공무원을 평정하도록 하고 있다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 의하면 경력평정 90점(42.1%), 근무성적평정 80점(37.4%), 연수성적 30점(14%), 여기에 가산점 14점(6.5%) 혹은 지역에 따라 18점을 더한 총점이 교육공무원 개인의 승진을 위한 점수가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