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산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03:51본문
Download : 동양사상산책.hwp
그리고 속성은 사물(개념(槪念))과 다르다. …(투비컨티뉴드 )
중국철학의 맹자와 공자 장자의 사상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레포트/인문사회
1. china철학의 속성
2. 제자백가사상이 출현하는 사회적 배경
3. 공자가 말하는 충서(서 : 2가지)
4. 묵자의 삼표사상
5. 장자의 소요유사상과 표현방법
6. 장자의 제물론을 양행과 도추로 설명(explanation)
7. 공손룡의 지물론
8. 공손룡의 백마론과 견백론
9. 맹자의 성선설과 증명방법
8. 공손룡의 백마론과 견백론
`백마는 말이 아닐것이다. 즉 말이라는 실재물처럼 백이라는 속성도 하나의 실재로 독립될 수 있다는 의미에 불과하다.
`흰돌은 단단함과 흰 및 돌은 셋이다. 왜냐하면 `흼`이라는 것은 보편자로서 개체물과는 다른 실재이
다. . 그러므로 백마는 말이 아닐것이다.
동양사상산책
공자맹자
순서
다. 즉 추가적(후천적으로)으로 덧붙여진 속성이다.공자맹자 , 동양사상산책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동양사상산책.hwp( 71 )
설명
중국철학의 맹자와 공자 장자의 사상에 대해 조사한 입니다. ...말이라는 것은 형체를 명명한 것이고,백이라는 것은 색을 명명한 것이다. .(백마는말이 아닐것이다. . 그래서 백마는 말이 아닐것이다. 즉 형이상적인 실재이다. 그러므로 백마는 말이 아닐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공손룡은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첫 번째는 `백`이라는 것은 말이라는 사물에 선천적으로 부여되지 않은 속성이다. 색을 명명한 것은 형체를 명명한 것이 아닐것이다. . 말이라는 것은 형태를 보고 말하는데 하얗다는 것은 색을 보고 말하는 것이다 .색깔을 보고 말하는 것은 형태를 보고 한말이 아닐것이다. . 여기에서 공손룡은 백이라는 속성의 독립성을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