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4:59
본문
Download : 목민심서_2087315.hwp
목민심서 , 목민심서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다. 내용은 모두 12편(篇)으로, 각 편을 6조(條)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엮었다. 이 책은 저자가 순조 때 천주교(天主敎) 박해로 전남 강진(康津)에서 귀양 생활을 하는 동안에 저술한 것으로, 조선과 중국(中國)의 역사(歷史)서를 비롯하여 여러 책에서 자료(data)를 뽑아 수록하여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행정을 쇄신코자 한 것이다.
목민심서에 대한 자료입니다.목민심서
목민심서
1. 개관(발간이유,변천)
2. 세부내용
부임육조
율기육조
봉공육조
애민육조
이전육조
호전육조
예전육조
병전육조
형전육조
공전육조
진황육조
해관육조
3. 현대 관리들에게 시사점
4. 목민심서의 실천윤리
목민관 선임의 중요성,
청렴 · 절검(節儉)의 생활신조,
민중본위의 봉사정신
1.목민심서 내용 개관
정조 때의 문신 ·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고금(古今)의 여러 책에서 지방 장관의 사적을 가려 뽑아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구분 : 필사본 저자 : 정약용(丁若鏞) 시대 : 조선 정조 소장 : 규장각도서 필사본. 48권 16책. 규장각도서. 저자의 《경세유표(經世遺表)》가 政府기구의 제도적(制度的) 개혁론을 편 것이라면, 이 책은 지방 관헌의 윤리적(倫理的) 각성과 농민경제의 정상화 문제를 다룬 것이다.
① 부임편(赴任篇):치장(治裝) ·사조(辭朝) ·계행(啓行) ·상관(上官) ·위사(총事). ② 율기편(律己篇):칙궁(飭躬) ·청심(淸心) ·제가(齊家) ·병객(屛客) ·절용(節用) ·낙시(樂施). ③ 봉공편(奉公篇):선화(宣化) ·수법(守法) ·예제(禮祭) ·문보(文報) ·공납(貢納) ·요역(沓役). ④ 애민편(愛民篇):양로(養老) ·자유(慈幼) ·진궁(振窮) ·애상(哀喪) ·관질(寬疾) ·구재(救災). ⑤ 이전편(吏典篇):속리(束吏) ·어중(馭衆) ·용인(用人) ·거현(擧賢) ·찰물(察物) ·고공(考功). ⑥ 호전편(戶典篇):전정(田政) ·세법(稅法) ·곡부(穀簿) ·호적(戶籍) ·평부(平賦) ·권농(勸農). ⑦ 예전편(禮典篇):제사(祭祀) ·빈객(賓客) ·교민(敎民) ·흥학(興學) ·변등(辨等) ·과예(課藝). ⑧ 병전편(兵典篇):첨정(簽丁) ·연졸(練卒) ·수병(修兵) ·권무(勸武) ·응변(應變) ·어구(禦寇). ⑨ 형전편(刑典篇):청송(聽訟) ·단옥(斷獄) ·신형(愼刑) ·휼수(恤囚) ·금포(禁暴) ·제해(除害). ⑩ 공전편(工典篇):산림(山林) ·천택(川澤) ·선해(繕演) …(省略)
설명
Download : 목민심서_2087315.hwp( 44 )
목민심서에 대한 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