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07:49
본문
Download :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를 읽고.hwp
자아로부터 배척되어 무의식에 억압된 성격 측면이다. 그래서 그림자는 자아와 비슷하면서도 자아와는 대조되는 자아가 가장 싫어하는 열등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자아의식이 한쪽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그림자는 그만큼 반대편 극단을 나타내며, 그림자가 다른 사람에게 투사될 때는 나와 비슷한 부류의 같은 성의 대상에 투사되며 거기서 그는 자기가 가장 싫어하는 사람을 본다. 무의식은 적극적으로 인식함으로서 의식에 동화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전문가와의 analysis(분석) 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교생활을 통해 자아의식을 초월하는 누미노제의 세계와의 접촉을 통해 마음의 變化(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1 ,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를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다.
설명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라는 책을 읽고 감상문을 썼으며 그 내용과 관련되는 무의식의 세계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습니다. 그것은 나, 자아의 어두운 면이다. 우리의 무의식에는 의식과 무의식을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核心적인 원형이 있다 이것을 자기 원형(Archetpypus des Selbst)이라 하는데 이 또한 그림자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To be continued )
1




순서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라는 책을 읽고나서 report을 썼으며 그 내용과 관련되는 무의식의 세계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습니다. 개인적 무의식의 내용으로서 그림자는 의식화해서 의식에 동화하면 의식의 시야가 넓어지고 그림자의 부정적인 작용은 건설적인 기능으로 바꾼다.
무의식의 창조적인 작용은 자율성과 보상작용으로 표현되는데 무의식은 자아 의식이 한군데로 몰리면 그렇게 되지 않도록 의식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이미지를 활발히 보내서 그것을 보상한다. 자아 인식의 작업을 소홀히 하면 할 수록 보상작용의 강도가 높아지고 무의식의 과보상은 결국 의식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거나 교란시켜 노이로제의 증상이나 생리적 이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림자는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다.
그림자는 일차적으로 개인의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 자아 콤플렉스의 무의식면의 여러 가지 열등한 성격경향이다.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를 읽고나서
Download : 이부영 교수의 그림자를 읽고.hwp( 48 )
레포트/감상서평
무의식계에는 그림자(shadow), `아니마(anima), 아니무스(animus), 자기(self)라고 부르는 독특한 요소가 있다 의식과 무의식을 막론하고 우리의 정신은 심리적인 복합체인 콤플렉스로 이루어지고 이 가운데 집단적 무의식을 구성하는 콤플렉스는 다른 말로 원형(Archetype)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