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21:43
본문
Download :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hwp
이 질문에 대상으로하여 단지 8.5%만이 ‘강하게 동의’하였고 23.1%는 ‘다소 동의’를 하여서 31.6%만이 이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을 하였다.
<표 3> 한인 민족성이 직업선택에 미친 influence에 대한 인식의 정도-세대별 분포(%)
자신의 민족성이 직업선택에 미쳤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거주지역별로도 어느 정도 의미있게 나타나고 있다아 전체적으로 도시거주자들이 농촌거주자들에 비교해서 자신이 한인이라는 사실이 직업선택에 influence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더욱 많았다. 반면 47.7%는 ‘다소 부정’을 하였고 7.2%는 ‘강하게 부정’을 하여서 전체 응답자의 54.9%가 직업선택에 있어서 자신의 민족성이 influence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합하면 현지사회에 동화정도가 높은 3·4세 응답자들은 인종 또는 민족을 개인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생각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인식도 세대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앞에서의 소수민족의 불리함에 대한 인식에서와 마찬가지로 1·2세 응답자들이 3·4세 이상 응답자들에 비교해서 자신의 한인신분이 직업선택에 influence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더욱 많았다. 이 질문에 마주향하여 단지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hwp( 68 )
한인들의 직업선택과 관련해서 본 연구자는 응답자들에게 자신이 한인이라는 사실이 직업선택에 influence을 미쳤는지 질문하였다. 이 질문에 대해서 단지 ... ,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인문사회레포트 ,
한인들의 직업선택과 관련해서 본 연구자는 응답자들에게 자신이 한인이라는 사실이 직업선택에 influence(영향)을 미쳤는지 질문하였다. 예를 들어 타슈켄트 거주 응답자들의 38.2%는 자신의 한인이라는 사실이 직업선택에 influence을 주었다고 생각한 반면 폴리토젤 집단농장과 같은 농촌거주 응답자들의 18…(To be continued )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다. 이들에게는 교육과 같은 개인의 인적자본이 성공의 중요한 변수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겠다. 즉 한인들은 자신들과 같은 소수민족들의 발전을 저해하는 인종주의가 존재하고 자신들에 대한 차별이 크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단지 한인이라는 이유로 직업선택에 influence을 받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아 민족성 이외에도 소득이나 사회적 지위 같은 요인들이 한인들의 직업선택에 크게 influence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한인들의 직업선택과 관련해서 본 연구자는 응답자들에게 자신이 한인이라는 사실이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쳤는지 질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