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문화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00:28
본문
Download : 비교문화론.hwp
한국인들이 즐겨 쓰는 금속제 젓가락은 튼튼하고도 위생적이다. 오히려 그 advantage만을 취해 대나무 젓가락의 지구성과 와리바시의 청결함을 고루 갖추고 있따 이처럼 한국인의 성격은 china(중국) 인에 비해 끈기와 인내력은 부족하지만 日本(일본)인처럼 급하거나 냉정하지도 않다. 이것이 곧 반도의 기질인 것이다. 물론 대나무나 금속제 젓가락을 쓰지 않는 건 아니지만, 생선회 따위의 日本(일본) 전통요리를 먹는데는 대개 자신의 발명품인 와리바시를 애용한…(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비교문화론에 대한 글입니다. 은이나 놋과 같은 금속제 젓가락은 대나무같이 때가 잘 묻는 물건도 아니고 와리바시처럼 한 번 쓰고 버리는 것도 아니다.
Download : 비교문화론.hwp( 32 )
레포트/인문사회
비교문화론에 대한 글입니다.
비교문화론
순서






설명
비교문화론1
1.의복文化(문화) 비교
china(중국) - 장삼(長衫)과 치포우
한국- 한복
日本(일본)- 기모노
2.식文化(문화) 비교
Ⅰ. 숭늉ㆍ열탕ㆍ오차 비교
Ⅱ. 고추장ㆍ짜차이ㆍ우메보시 비교
한국- 매운맛의 文化(문화)
china(중국) - 짠맛의 文化(문화)
日本(일본)- 신맛의 文化(문화)
Ⅲ. 3국의 젓가락 文化(문화)
3.주거文化(문화)
china(중국) - 의자
한국- 온돌
日本(일본)-다다미
4.bibliography
○ 한국
한국인들은 금속제 젓가락을 가장 많이 애용한다. 지정학적으로 대륙과 열도 사이에 위치한 한국은 바로 중·일의 절충된 모습이라고 해야 옳다. 식기와 숟가락이 금속제가 많으니 금속제 젓가락은 당연한 이치다.
文化(문화) 수용패턴 하나만 놓고 보아도 한국인들은 결코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다. 절개 없는 섬나라 文化(문화)의 소산인 와리바시와 옹고집인 대륙의 대나무 젓가락, 그 사이에 중용을 아는 금속제 젓가락이 있따
○ 日本(일본)
日本(일본)인들은 주로 와리바시(나무젓가락)라고 불리는 일회용 젓가락을 많이 쓴다.비교문화론1 , 비교문화론인문사회레포트 ,
다. 적당한 울타리 속에 자신의 文化(문화)를 넣어두고 그것과 조화를 이룰 만한 文化(문화)를 받아들이는 신중한 자세를 지켜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