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1:55
본문
Download :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hw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
Download :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hwp( 48 )
다. 무령왕릉1 ,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인문사회레포트 ,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에 대한 자료입니다. 지금까지 발굴된 7기의 분포를 보면 古墳은 표고 130m의 松山을 북쪽의 主山으로 한 남쪽 경사면에 분포되어 있는데,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武寧王陵과 5호분, 6호분, 동북쪽에는 1~4호분이 자리하고 있다아 무령왕릉의 발견으로 송산리 고분군이 王陵群임이 분명해졌고 공주 일원의 주미리, 교촌리, 금학동, 옥룡동 고분군이 동 시기 귀족의 고분군으로 추정된다된다. 동쪽으로 공산성이 건너다 보이고, 서쪽으로는 곰나루의 금강이 감싸돌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계룡산이 펼쳐져 이 곳은 가히 명당이라 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에 이미 사신사상에 따라 묘지를 선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아
1. 고분 내부 구조
고분들의 내부 구조는 크게 석실분과 전축분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된다.
1) 석실분 (石室墳)
① 公州 송산리 1호 석실분
공주시 송산리 고분 중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고분으로 이미 도굴되어 천정과 동벽의 일부가 심하게 파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아 남향에서 약간 동으로 치우친 산의 경사면에 묘광을 파고 그 안에 벽돌 형태의 할석으로 현실과 연도를 축조한 횡혈식 석축묘 인데 천정을 궁륭상의 형태로 축조하였다.무령왕릉1
순서
◈ 송산리 고분군의 개관
송산리 고분군은 삼국사기 및 동국 여지승람의 사료를 확인시킨 유일의 중요 文化(culture) 유적인 백제 제 25대 무령왕 및 왕비의 합장릉인 무령왕릉을 포함하는 사적 13호로 충청남도 공주 시 금성동에 소재하는 7기의 고분으로 구성된다된다. 현실은 남북이 약간 긴 장방형으로 동서의 너비가 177㎝, 남북의 길이 258㎝이며, 현실의 네벽은 벽돌 형태의 점판암을 이용하여 쌓고 높이 100㎝ 정도부터 안으로 내경하면서 사방의 벽을 올려…(투비컨티뉴드 )
설명
송산리 고분과 무령왕릉에 대한 자료입니다.
북방 상부 에 일렬로 늘어서 있는 4기의 고분과 5호분은 현실과 현실로 들어가는 길인 연도를 네모꼴로 다듬은 돌로 축조한 돔 형식의 궁륭상 횡혈식석실분(橫穴式 石室墳)이며, 남방 하부의 나머지 두 고분, 즉 무녕왕릉과 6호분은 벽돌로 쌓은 횡혈식전축분(橫穴式 塼築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