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4-1>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우리말의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7:53
본문
Download : 국어사_시대구분[1].docx
이러한 분류는 전통적인 언어사 시대 구분의 4단계 기준, 즉 고대, 중세, 근대, 현대를 준수하고 있다.
*근대 국어(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초반- 19세기 후반 갑오경장까지)
전기: (10세기- 고려 왕조의 멸망 14세기까지): 차자 표기시대
맺음말
-- 문헌자료(資料)
2. 4. 중세 국어에서 근대 국어로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유사 이후의 국어 역사(歷史)의 시대 구분과 그 특질은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요점될 수 있다. 선사의 단계는 언어에 대한 기록이 없는 관계로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제외된다 문헌 기록을 보유한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 있어서는 훈민정음 전후로 크게 대별된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인 15세기 중엽 이후부터는 한글로 작성된 생산적인 문헌자료(資料)가 많아서 가장 국어의 역사(歷史)에서 확실하고 투명하다. 국어의 역사(歷史)와 관련된 구체적인 문헌 기록이 등장하는 시대는 삼국시대부터이다. 하지만 시대를 구분 짓는 징표를 선정하는 기준은 우리들의 인식내용에 불과할 뿐이고, 이러한 해석과 인식은 항상 변하는 것처럼 지금까지 시도된 국어 역사(歷史)의 시대 구분 또한 잠정적이고 상대적인 정이 이다. 국어사의 시대 구분의 기준은 연구자들에 따라서 1) 한국 역사(歷史)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왕조 중심의 변천 2) 한국 역사(歷史)와는 별개의 독자적인 순수한 언어체계 내적 alteration(변화) 3) 한국 역사(歷史)의 언어 외적 alteration(변화) 와 국어의 내적 alteration(변화) 의 절충식 조정 등으로 세 가지로 분류되지만, 언제나 그 기준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적용된 것만도 아니었다.
-- 중세 국어의 특징
들어가는 말
-- 삼국 언어의 비교
![국어사_시대구분[1]-331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3/%EA%B5%AD%EC%96%B4%EC%82%AC_%EC%8B%9C%EB%8C%80%EA%B5%AC%EB%B6%84%5B1%5D-3318_01.jpg)
![국어사_시대구분[1]-331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3/%EA%B5%AD%EC%96%B4%EC%82%AC_%EC%8B%9C%EB%8C%80%EA%B5%AC%EB%B6%84%5B1%5D-3318_02_.jpg)
![국어사_시대구분[1]-331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3/%EA%B5%AD%EC%96%B4%EC%82%AC_%EC%8B%9C%EB%8C%80%EA%B5%AC%EB%B6%84%5B1%5D-3318_03_.jpg)
![국어사_시대구분[1]-331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3/%EA%B5%AD%EC%96%B4%EC%82%AC_%EC%8B%9C%EB%8C%80%EA%B5%AC%EB%B6%84%5B1%5D-3318_04_.jpg)
![국어사_시대구분[1]-331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3/%EA%B5%AD%EC%96%B4%EC%82%AC_%EC%8B%9C%EB%8C%80%EA%B5%AC%EB%B6%84%5B1%5D-3318_05_.jpg)
다. 차자표기에 의존한 500년의 세월, 고어사전 없이는 해독하기 어려웠던 그 이전 1000년의 세월은 엄청난 언어 alteration(변화) 를 수반하였음을 뜻한다.
- 다양한 자료(data)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역사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우리말의역사,국어사,국어사의시대구분,언어적특징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2. 3. 중세 국어의 성립
순서
*중세 국어( 고려 건국 10세기 초반이후-임진왜란 종결 16세기 말엽까지)
1. 국어의 계통 및 국어사의 구분방법
2. 2. 국어의 통일
Download : 국어사_시대구분[1].docx( 32 )
2. 1. 고대삼국의 언어
후기: (조선 왕조의 성립15세기- 16세기 말엽): 한글 표기시대
-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history(역사) 공통 참고자료(data)입니다
2. 각시기의 언어적 특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방통대 2014-1>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우리말의 history(역사) )
전기:(17세기초반- 18세기 중반)
설명
*고대 국어(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의 멸망(A.D. 935까지): 차자표기의 시대
-- 근대 국어의 특징
우리와 관련된 모든 대상의 alteration(변화) 역사(歷史)를 합리적으로 기술하려면 적절한 시대 구분이 요구된다 시대를 구분한다는 것은 일정한 역사(歷史)적 단계마다 다른 시대와 구분 지을 수 있는 현저한 특질들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이 이후부터 현대 국어까지는 600여년에 불과하고 그에 반해 국어의 장구한 세월은 너무나 크다.
국어사를 해석하고 인식하는 연구자들의 관점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정된 국어사의 시대 구분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여 왔다. 국어가 발달하여 오는 긴 여정에 출현했던 수많은 언어 현상과 alteration(변화) 가운데 어떤 특질을 선정하여 주목하는가 하는 것은 observation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근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