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C영국의 대외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0:27
본문
Download : 19C영국의 대외정책.hwp
이에 영국은 무력행사를 결정하고 그 구실을 찾는데 혈안이 되었는데, 이런 때 일어난 것이 애루오호 사건이었다. 즉 난징조약에 의해 5개 항구가 개방되었으나, 양쯔 강을 비롯한 내강은 아직 개방되지 않았고 내지의 여행권도 기독교 포교의 자유도 없었고 치외법권도 청의 무시로 그다지 효력이 없었다.
영국은 국지적인 국제법상의 작은 사건을 고의로 확대하여 전쟁을 일으킨 것인데, 여기에 애로우호 전쟁을 `제 2차 아편전쟁`이라 부르는 까닭이 있다 또 크림전쟁에서 영국과 연합하고 있던 프랑스도 자국의 선교사가 피살된 것을 구실로 영국과 연합하여 양국공동으로 광동을 점령하고 북상하여 화북에 침입하였다. 이에 중국(中國)은 또 다시 굴복하여 1858년 영국, 프랑스와 이어서 러시아, 미국과 `텐진조약`을 맺었다.최종레포트[1][1] , 19C영국의 대외정책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19C영국의 대외정책
다. 더욱이 조약 적용에 대한 양국의 해석 차이로 분쟁이 계속되었는데, 영국은 먼저 조약 개정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19C영국의 대외정책.hwp( 91 )
19C영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글입니다.최종레포트[1][1]
1. 주제 제기의 동기
2. 19C영국의 상황
(1) 19세기 전반 영국의 모습
(2) 19세기 전반 영국의 대외정책
(3) 19세기 후반 영국의 모습
(4) 19세기 후반 영국의 대외정책
(5) 영국의 인도를 향한 식민정책
3. 영국의 동아시아를 향한 대외정책
(1) 대 조선정책
(2)대동남아시아 정책
(3)대일본 정책
(4) 대러시아 정책
4. 대중국(中國)정책
(1) 1차 아편전쟁
(2) 2차 아편 전쟁 - 애로우호(호) 전쟁
(3) 영국, 프랑스의 중국(中國)침략
(4) 영국, 프랑스의 재침략
(5) 중-영 마가리 사건에 관한 교섭(August Raymond Margary)
(6)영국의 홍콩 강점
5. 결
(2) 2차 아편 전쟁 - 애로우호(號) 전쟁
난징조약에 의해 중국(中國)의 전통적인 중화사상은 치명적 타격을 받았으나 청은 본시 약속을 이행할 뜻이 없었고 외국인을 경시하는 태도를 고치지 않았다. 이에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다시 텐진과 베이징을 점령하고 원명원을 약탈한 다음 소각하였다. 그러나 청은 다시 영국, 프랑스에 대해 텐진조약 비준을 거부하고 1860년 불법으로 내지하천을 항해해온 영국, 프랑스의 사절단을 포격하였다.
텐진조약은 난장조약을 재확인하고, 새로 11개 항구의 개방, 베이징에 공사관 설치, 기독교 포교 자유, 내지여행 자유를 승인하였고, 11월의 추가 조약에서는 외국인에 의해 해관 설치, 아편무역의 합법성이 인정되었다. 중국(中國)진출의 구실을 구하고 있던 영국은 영국 선적과 영국 국기의 모욕을 이유로 태평천국운동으로 힘들었던 청에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애로우호 사건은 1856년 영국에 선적을 둔 애로우호가 광동에서 청의 관리가 임검을 받아 중국(中國) 선원이 해적 용의자로 체포되고, 영국 국기가 모욕당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설명
19C영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