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렬장군 실록유고 4.3의 진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12:15
본문
Download : 김익렬장군 실록유고 43의 진실.hwp
당시 제주도 청년들은 역사(歷史)적인 배경도 있었겠지마는 관리나 군인으로 출세하겠다는 희망을 가진 청년은 육지청년과 비교하여 지극히 희소하였다. 그 당시 일반미군관리들도 마찬가지였지마는 국방경비대 장교들도 제주도 제9... , 김익렬장군 실록유고 4.3의 진실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김익렬장군 실록유고 4.3의 진실






다.
나도 태릉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서 장교교육을 받던 어느 날 명동거리를 산보하다가 송장군의 부인(중국(中國)인)에게 경례를 안한 죄로 9연대로 추방되어 부임하여왔다. 연대장 이치업 참령(이치업 참령)도 그리하였고 부관 심흥선 부위(심흥선 부위)도 모든 장교들이 대부분이 그리하였다. 군사훈련이 심하거나 군대작업이 심하면 도망을 쳐버리는 것이 일쑤였다. 그러므로 장교들은 제주도 출신 사병들은 으레 어느 땐가는 도망치리라 생각하고 그리 신경도 쓰…(투비컨티뉴드 )
,자연과학,레포트
순서
내가 제주도 제9연대 부연대장으로 부임한 것은 1947년 9월 초였다. 그 당시 일반미군관리들도 마찬가지였지마는 국방경비대 장교들도 제주도 제9...
레포트/자연과학
내가 제주도 제9연대 부연대장으로 부임한 것은 1947년 9월 초였다. 자기의 비위에 어긋나면 `너는 제주도로 귀양이다` 호령하고 즉시 9연대로 전근시키는 것이었다. 9연대는 연대라 하여도 실제 병력은 1개 대대가 조금 넘는 약 9백여명이었으며 병사들의 90%는 전라도 경상도 방면에서 모병하여온 병사들이었다. 대부분의 장교들이 경미한 상관과의 opinion충돌이나 사고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귀양(추방)되는 부대이기도 하였다.
Download : 김익렬장군 실록유고 43의 진실.hwp( 83 )
내가 제주도 제9연대 부연대장으로 부임한 것은 1947년 9월 초였다. 일정한 직업이 없어 일시적으로 의식주가 해결되는 경비대를 지원한 사람도 있었다.
목포에서 선로(선로)로 10시간 제주읍에 도착, 화산석으로 시야를 가린 일주도로를 따라 약 4시간 후에 대정면(대정면)에 있는 제9연대에 부임하였다. 제주도 청년들은 군대지원을 꺼려 지원자들의 대부분은 일제시대 日本(일본)군 하사관 출신이었다. 또다른 문젯거리로, 제주도 출신 병사들은 나태하며 육체노동을 싫어한다는 것이 정평이었다. 그 당시 일반미군관리들도 마찬가지였지마는 국방경비대 장교들도 제주도 제9연대는 모두 가기싫은 부임지였다. 당시 국방경비대 총사령관인 송호성(송호성 준장 중국(中國)에서 독립운동 했음)장군은 풍모는 독립운동가나 장군다운 면이 있었으나 중요한 군사지식이나 두뇌나 인격은 중국(中國)대륙에서 독립운동을 하다보니 정규의 교육이나 군사교육을 받지못한 관계로 보잘 것 없었다. 특히 인격면에서 그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