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2:37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hwp
순서
서론
본론
1.<광주철조석가여래좌상(廣州鐵造釋迦如來坐像) 고려10세기>
2.<부석사(浮石寺) 소조아미타여래좌상(塑造阿彌陀如來坐像)고려10세기>
3.<철제불두(鐵製佛頭)>국립중앙박물관
4. 충주철불여래좌상(忠州鐵佛如來坐像) 국립중앙박물관
5.<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 고려10세기>
6.<대조사석불미륵보살입상(大鳥寺石佛彌勒菩薩立像) 고려12세기로 추정>
7.<충주미륵리석불(忠州彌勒里石佛)=괴산미륵리석불입상(塊山彌勒里石佛立像 고려11세기>
8.<안국사지 석불입상(安國寺址 石佛立像) 고려후기>
9.<익산고도리미륵석불입상(益山古都里彌勒石佛立像) 고려시대 말기>
10<월정사석조보살좌상(月精寺石造菩薩坐像) 고려11세기>
11.<한송사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 고려10세기> 국립 중앙 박물관
12.<신복사지보살상(神福寺址菩薩像) 고려10세기 후반>
13<파주 용미리 마애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佛立像) 고려11세기>
14.<안동이천동마애불상(安東泥川洞磨崖佛像) 고려11세기로 추정>
15.<덕주사 마애불상(德周寺 磨崖佛像) 고려10세기>
16.<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北漢山 舊基里 磨崖釋迦如來坐像) 고려10세기 추정>
17.<함양 마천면 마애여래입상(咸陽 馬川面 磨崖如來立像)고려 11세기>
18.<대흥사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大興寺 北彌勒唵磨崖如來坐像) 고려 11세기>
19.<법주사 마애여래의상(法住寺 磨崖如來倚像) 고려 11세기로 추정>
20.<가엽사지 마애삼존불상(伽葉寺址 磨崖三尊佛像) 고려 10세기로 추정>
21.<선원사철조여래좌상(禪院寺鐵造如來坐像) 고려 10세기 말>
22.<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
23.<금동대세지보살좌상(金銅大勢至菩薩坐像) 고려14세기>
24.<금동대불감(金銅佛龕) 고려13~14세기 추정>
conclusion
가엽사의(가섭사라고도 함)삼존불은 천연동굴의 직립암벽에 삼존불입상을 조각하였는바 본존불은 소발의 머리 위ㅔ 큼직한 육계가 놓였으며 상호는 넓은 편으로 작은 눈과 입, 그리고 크고 뭉툭한 코, 길다란 귀 등이 둔중한 느낌을 준다. 어깨는 만듯하고 평판적으로 불륨이 없는 가슴과 곧바로 뻗은 두 다리 등이 옆으로 돌린 양쪽 발과 더불어 형식화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아 법의는 통견으로 속살이 보이는데 U자 형의 옷주름과 양 옆으로 길게 늘어진 옷자락 등도 역시 형식적으로 처리되었다. 수인은 상품중생인(上品中生印)을 취하여 양손을 가슴 앞에 모아서 엄지와 인지를 맞대었는데, 이것이 마애타여래상(磨崖咤如來像)으로 추정된다된다. 이들 협시보살은 화불이 조각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보발(寶髮)이 어…(To be continued )






설명
,기타,레포트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에 관해 조사하고 정리한 자료입니다.111111111111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에 관해 조사하고 정리한 입니다.111111111111 ,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기타레포트 ,
Download : 고려시대 불상의 명칭과 형태.hwp( 98 )
레포트/기타
다.
좌ㆍ우 협시보살(協侍菩薩)도 본존불(本尊佛)과 비슷한 조각 수법을 보이는데 양 옆으로 뻗은 천의자락이나 오른손으로 옷자락을 살짝 잡고 있는 모습 등은 고려시대의 장식성(裝飾性)과 도식화의 결과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