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2:09
본문
Download :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doc
전극 하나를 더 걸어주면 그 전극에서 나오는 전기력선이 그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들어갈 것이다.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 ,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measurement)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measurement)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measurement)입니다.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에 의해서 자기 작용이 일어나고, 또 +,-의전하가 있으면 그 사이에 전기력이 작용한다.
e) 전하가 전기장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등전위면…(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doc( 40 )
순서
수조를이용한등전위선측정입니다. 따라서 전기력선의 원인(原因)은 먼저 전위차에 기인한다.
4 그림과 같이 수조 안에 전극하나를 더 추가하여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에 등전위선의 모양을 상상해 보고 실질적으로 측정(測定) 이 가능하면 해본다. 큰 윤곽으로 보면 같은 전극의 전기장이 합해져서 더 큰 전극 사이의 전기력선 모양으로 변할 것이다.
,공학기술,레포트






다.레포트/공학기술
2 수조안에 +전극만 설치하는 경우에도 등전위선을 측정(測定) 할 수 있는가?
측정(測定) 할 수 있따 플러스 전극을 플러스 전하를 띠고 있는 전하라고 생각하면 그림 1과 같은 형태가 나온다.
3 만약 양극사이에 적당한 전위차를 만든 다음에 전선으로 양전극을 연결한다면 이때에 등전위선을 watch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전선쪽으로 거의 모든 전류가 흐른다. 전기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 전기력선 이다..
5전기력선의 원인(原因)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d) 등전위면을 따라 전하를 이동시킬 때의 일은 0이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이다 그렇다면 먼저 전기장의 원인(原因)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전기장은 전기적 위치에너지 즉 전위차에 의해서 생긴다. 따라서 등전위선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전기력선이 +에서 –인 이유는 +쪽이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일것이다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두 전위차 사이에 임의의 test(실험) 전하는 놓았을 때 그 test(실험) 전하가 움직이는 경로가 전기력선이 된다
4conclusion(결론)
여태껏 test(실험) 한 내용을 요점해 보면 등전위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등전위면의 성질
a)등전위면 위의 모든 점에서의 전위차=0
b) 전기력선과 등전위면은 직교
c)전기장의 세기와 등전위면의 밀도는 비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