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정신 지체 장애아동의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1:19
본문
Download : 정신 지체 장애아동의 교육.hwp
」고 규정하고 있따 또한 특수교육진흥법 제2조 제3항에서 「특수학급이라 함은 특수 교육을 위하…(省略)
순서
Download : 정신 지체 장애아동의 교육.hwp( 64 )
,인문사회,레포트
정신 지체 장애아동의 교육
특수교육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장애를 보면 정신지체가 가장 많다. , 정신 지체 장애아동의 교육인문사회레포트 ,
다. 본문에서는 ‘교육 가능한 정신지체아(EMR)’에 대한 과거의 정신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문제점(問題點)을 지적하고, 통합화로 나가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정신지체 아동의 교육
1) 특수학급의 설치·목적
특수 학급의 설치의 법적 근거로는 교육법 제145조 교육법 시행령 제177조 및 특수교육 진흥법 제2조 3항을 들 수 있따 교육법 제145조에는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 학교에는 필요한 경우 장애인 학생을 위한 특수 학급을 둘 수 있따」라고 규정함으로서 장애인을 위한 특수 학급을 설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교육법 시행령 제177조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에서 특수 학급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설립인가 기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졍의를 적용하는 데는 4가지 전제조건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정신지체는 의사소통, 자기보호, 가내생활, 사회적 기술, 지歷史(역사)회의 이용, 자기감독관리, 건강 및 안전, 학업능력, 여가, 일 등의 적응적 기술영역 중 두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의 제한과, 이와 동시에 발생하는 현저히 average(평균)이하인 지적 기능(I. Q. 70~75이하)이 그 특징이며, 18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이다. 둘째, 적응기술의 제한은 정신지체인 자신의 또래집단에 전형적인 지歷史(역사)회 환경내에서 발생하며, 그 개인의 다른 적응기술이나 개인적 능력에서의 강점과 병존한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지체의 정의(定義)
1) 지능검사 점수를 근거로 한 정의(定義)
2) 사회 적응의 성패 여부에 근거한 정의(定義)
3) 정신지체의 근본 요인에 근거한 정의(定義)
4) 미국 정신지체협회 정의(定義): 최근에 합의된 정신지체에 관한 정의(定義)
2. 정신지체 아동의 교육
1) 특수학급의 설치·목적
2) 특수교육의 세계적 조류
3. 특수학급 또는 정규학급에서의 특수교육 program
1) 독립된 특수학급
2) 독립된 특수학급에 대한 반론
4. 통합교육
1) 통합교육의 내용
2) 통합교육의 일환으로서의 ‘전환교육’
5. 事例(사례)제시
1) 장애상태·가족상황 및 현재상황
2) 인혜학교 진학배경
3) 종호가 받은 교육·서비스
4) 종호의 재활에 있어서 성공적 요소
5) 종호의 재활의 결점과 한계
Ⅲ. 결론
오늘날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신 지체에 관한 정의(定義)는 미국 정신 지체협회가 채택한 정의(定義)이다.
특수교육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장애를 보면 정신지체가 가장 많다. 넷째, 일정기간 동안의 적절한 지원이 있으면 정신지체인의 생활기능은 일반적으로 improvement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정신 지체란 현재의 기능의 현저한 제한을 뜻한다. 정신지체인이 필요로 하는 지원의 정도에 따라서 간헐적 지원, 제한적 지원, 강력한 지원, 포괄적 지원의 4가지로 나누고 있따
이러한 전제조건에서는 앞에서 정의(定義)한 3가지 정의(定義)가 남아있으며 앞에서 정의(定義)한 내용의 결점을 보완하고, 포괄한다고 볼 수 있겠다. 본문에서는 ‘교육 가능한 정신지체아(EMR)’에 대한 과거의 정신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통합화로 나가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지체의 타당한 평가에는 의사소통과 행동요인에서의 차이뿐 아니라 文化(culture) 적, 언어적 다양성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