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거스틴의 진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02:01
본문
Download : 어거스틴의 진리론.hwp
ꡒ우리가 신체상의 감각에 의해서 익혀 온 진리를 의심할 생각은 조금도 없다. 중세 철학사 (질송), 117
또한 유형적인 대상들을 인식의 본래 대상으로 보지 않았는데, 이는 유형적 대상들이 alteration(변화) 할 수 있고 또 그 대상들에 대한 우…(skip)
레포트/인문사회
다. 감각은 사람들로 하여금 유형적인 것들을 다룰 수 있게 해주는데 유익하다. 서양 철학사, 193
그런데 질송은 그의 저서에서 감각을 인식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에서 감각 지각은 절대적으로 안전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따 첫째로, 감각 지각의 고유한 기능은 영혼에게 사물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 육신 속에 일어나는 몇몇 alteration(변화) 에 대하여 영혼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어거스틴의 진리론
순서
자아 인식은 하나님을 향한 온전한 전향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것의 의미는 오직 인격적으로 말을 걸어오는 하느님을 인식하는데서 비롯되며, 이와 동시에 인식하는 자의 자기 인식의 목적이 바로 창조주라는 것이라고 말한 어거스틴의 진리론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였습니다
자아 인식은 하나님을 향한 온전한 전향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것의 의미는 오직 인격적으로 말을 걸어오는 하느님을 인식하는데서 비롯되며, 이와 동시에 인식하는 자의 자기 인식의 목적이 바로 창조주라는 것이라고 말한 어거스틴의 진리론에 관하여 설명하였습니다중세철학에서의어거스 , 어거스틴의 진리론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어거스틴의 진리론.hwp( 72 )





중세철학에서의어거스
2. 진리 탐구
1) 감각 인식
감각 인식에 있어서의 오류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은 감각에 대한 신뢰를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것과는 전적으로 다른 것이다.ꡓ고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에서 말하고 있따 같은 책, 86
이런 감각은 신체의 alteration(변화) 가 마음 속에 일으키는 결과가 아니라, 마음이 신체에 있어서의 어떤 alteration(변화) 들을 자유롭게 택하여 주의해 보는 심적 활동이다. 둘째로, 물질적 사물들의 이런 본질은 변할 수 있따 이 두 가지 이유로 하여 순수한 진리를 감각으로부터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서양 철학사, 192
이를 코플스톤은 그의 저서에서 플라톤의 영혼론을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감각 작용을 감각 기관을 도구로서 사용하는 영혼의 행위로 보았다고 표현하고 있따 중세 철학사 (코플스톤), 87
보거나 듣거나, 어떤 감각을 지니게 될 때, 그 사람의 신체 속에 진행되고 있는 어떤 alteration(변화) 를 드러내는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alteration(변화) 에 관한 어떤 지식을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감각에 의해서 하늘과 땅을 아는 방법을 배워 왔기 때문일것이다 ꡓ또한 ꡒ우리들 자신의 감각만이 아니라 다른 이들의 감각도 우리의 인식에 많은 보탬이 되어 왔다는 것을 우리는 인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