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경 New York―이상의 「실화(失花)」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의 일각(一角)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1:56
본문
Download : 서울 동경 New York―이상의 「실화(失花)」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의 일각(一角).hwp
식민지 모국의 수도…(skip)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1.gif)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2.gif)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3.gif)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4.gif)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5.gif)
%E3%80%8D%EB%A5%BC%20%ED%86%B5%ED%95%B4%20%EB%B3%B8%20%ED%95%9C%EA%B5%AD%20%EA%B7%BC%EB%8C%80%EB%AC%B8%ED%95%99%EC%9D%98%20%EC%9D%BC%EA%B0%81(%E4%B8%80%E8%A7%92)_hwp_06.gif)
순서
Download : 서울 동경 New York―이상의 「실화(失花)」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의 일각(一角).hwp( 78 )
서울 동경 New York―이상의 「실화(失花)」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의 일각(一角)
단 한 문장으로 구성된 1장의 이 경구는 일종의 주제음처럼 4장에서 두 번―한 번은 그대로, 또 한 번은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데, 다시 작품의...
단 한 문장으로 구성된 1장의 이 경구는 일종의 주제음처럼 4장에서 두 번―한 번은 그대로, 또 한 번은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데, 다시 작품의... , 서울 동경 New York―이상의 「실화(失花)」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의 일각(一角)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런데 동경 장면들에서도 ꡐ나ꡑ는 계속 서울을 반추하고 있으니, ꡐ나ꡑ는 몸은 동경에 있되 의식은 서울에 지펴 있는 셈이다.레포트/인문사회
단 한 문장으로 구성된 1장의 이 경구는 일종의 주제음처럼 4장에서 두 번―한 번은 그대로, 또 한 번은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데, 다시 작품의 끝을 약간 변조(變調)된 이 경구로 마무리한다. 말하자면 이 경구는 이 단편 해석의 관건을 쥔 화두라고 할 수 있따
이와 함께 주목할 것은 이 작품의 headline(제목) ꡐ실화ꡑ다. 간다구(神田區) 짐보오초오(神保町), 동경 유학생 C양의 방에서 처음 하여(2, 4장), 신주쿠(新宿)의 카페를 거쳐(6, 8장), 짐보오초오 스즈란도오(鈴蘭洞)의 ꡐ나ꡑ의 방으로 돌아오기 위해 신주쿠 역 폼에서 비칠거리는 데서(9장) 마무리되는 것이 기본 동선(動線)이다.
「실화」의 구성은 단순하다. 작가는 이 노정이 사이사이(3, 5, 7장)에 서울 장면들을 끼워넣는다. 꽃의 이미지는 3장의 끝에 처음 등장하여 4, 5, 6, 7장 곳곳에 출몰하는데, 마지막 장을 장식함으로써 이 또한 작품 전반을 지배하는 또하나의 화두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