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s.kr 형사소송법상 고소 > forms3 | forms.kr report

형사소송법상 고소 > forms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orms3

형사소송법상 고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00:55

본문




Download : 형사소송법상 고소.hwp




피해자는 공소시효가 남아 있는한 언제든지 고소를 할 수 있다아

그러나 고소가 있어야 논할 수 있는 친고죄의 경우에는 일정한 기간의 제한이 있다아 즉 친고죄의 경우에는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6월을 경과하면 고소하지 못하고(형소법 제230조), 강간?강제추행 등 성폭력범 중 친고죄에 대하여는 범인을 알게된 날로부터 1년을 경과하면 고소하지 못한다(성폭력범죄의처벌 및 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19조). 다만 고소할 수 없는 불가항력의 사유가 있는 때…(skip)

형사소송법상 고소 , 형사소송법상 고소법학행정레포트 , 형사소송법상 고소
형사소송법상%20고소_hwp_01.gif 형사소송법상%20고소_hwp_02.gif

Download : 형사소송법상 고소.hwp( 86 )



설명


형사소송법상 고소
다.




형사소송법상,고소,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형사소송법상 고소





형사소송법상 고소(告訴)에 대하여

1. 들어가며

형사소송법상 고소라 함은 「범죄로 인한 피해자(被害者)나 그 피해자외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가 수사기간에 대하여 범죄사실을 신고하고 그 처벌을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소기간

일반적으로 고소에는 기간의 제한이 없다.

2. 고소권자

범죄로 인한 피해자는 고소할 수 있다(형소법 제233조). 그러나 자기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은 고소하지 못한다(형소법 제244조). 피해자란 범죄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피해를 본 자를 말하며 자연인에 한하지 아니하고 법인은 물론 법인격 없는 사단?재단도 포함된다 보호법익의 주체 뿐 아니라 행위의 객체가 된 자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아

피해자의 법정대리인은 독립하여 고소할 수 있다아 독립하여 고소할 수 있으므로 피해자의 고소권 소멸 여부에 관계없이 고소할 수 있다아 피해자가 사망한 때에는 그 배우자, 직계친족 또는 형제자매는 고소할 수 있지만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고소할 수 없다(형소법법 제255조).

피해자의 법정대리인이 피의자이거나 법정대리인의 친족이 피의자인 때에는 피해자의 친족은 독립하여 고소할 수 있고, 죽은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범죄에 대하여는 그 친족 또는 자손이 고소할 수 있다아 친고죄에 대하여 고소할 자가 없는 경우에 이해관계인의 신청이 있으면 검사가 10일 이내에 고소할 수 있는 자를 지정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전체 6,70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orms.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