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과 서양의 주도文化(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03:53
본문
Download : 동양과 서양의 주도문화.hwp
♠ 중 국
中國 사람들은 자주 `깐빠이(건배)` 라고 하면서 술잔을 들었다 놓곤 한다.
한국인은 관대한 음주文化를 가졌다고 한다. 또한 상대방에게 억지로 권하지도 않는다. 사실 술잔을 돌려가며 마실 때 술을 권하는 상대방이 술잔을 닦지 않거나 깨끗이 하여 주지 않으면 비위생적인 면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받은 술잔을 내가 닦으면 상대방과의 작은 마찰이 생길 수도 있다 그리고 술은 적당히 마시는 것이지 취하여 정신을 잃을 때까지 마시는 것은 분명 좋지 못한 모습이다. “한국인은 모이면 마시고, 취하면 싸우고, 헤…(省略)
New칵테일report1
,인문사회,레포트
다.
♠ 한 국
※ 집단 의례로서의 술 文化
※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술 文化
※ 술과 성
한국은 유일하게 수작文化가 존재한다.New칵테일레포트1 , 동양과 서양의 주도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동양의 주도文化(culture) 와 서양의 주도文化(culture) 에 관련되어 살펴보고 바람직한 음주文化(culture) 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술잔을 부딪히면 다 마셔야 되고 술잔을 들었다 놓으면 자기가 마시고 싶은 대로 조금 마셔도 된다
中國은 우리나라처럼 신입생환영회라든가 하는 술을 강요하는 자리는 없고 맘에 맞는 친구들끼리 또는 친척들간의 모임 때 주로 술을 접하는 경우가 많다.
순서



동∙서양의 주도文化
♠ 일 본
Japan 사람들은 술자리에서 잔이 조금이라도 비면 항시 가득 채운다.
설명
동양과 서양의 주도文化(culture)
Download : 동양과 서양의 주도문화.hwp( 65 )
동양의 주도문화와 서양의 주도문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바람직한 음주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같은 동양유교文化권에 있는 우리나라와 中國의 음주文化를 비교해보면 中國인들도 우리 조상들처럼 술을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해주는 것으로 생각하여, 즐기며 항상 가까이 하는 민족이며 상대방에게 귀한 술을 대접하는 인정이 있다 그러나 상대방의 술잔이 비워질 때 그 잔에 첨잔을 할지언정 자기 잔을 돌리는 수작文化는 없다. 그 관습이 이어져 내려오는 것은 자기 잔을 어른께 드리는 것은 존경의 표현이며 자기 잔을 동료나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주는 것은 인정과 친근감의 표현이라는 우리의 인식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존경과 인정을 표현하는 방법이 그것만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의 수작文化는 제고되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보통 싫어해도 주고, 한번 마실 때 끝을 보자는 생각에서인지 너무나 좋지 못한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분명히 고쳐져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