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05:19
본문
Download : 전질.hwp
이 설은 독일보통법시대에 유력한 학설이었다. 이 견해에 의하면 전질권은 권리질로 되어 제336조의 ‘질물을 전질할 수 있따’는 규정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질물의 점유가 불필요하여 질권자의 책임을 가중하려 하여도 할 수가 없다. …(skip)
轉質
순서
본 자료는 우리나라 민법의 전질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이 설은 질권자는 그의 권리의 범위내에서 질물을 전질할 수 있다는 제336조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즉 질권자가 채무를 변제하는 경우에는 다시 질권을 취득한다는 조건하에 질권만을 자기의 채권자에게 양도하는 것이라는 설이다. 그러나 소유자가 아닌 질권자가 무단히 타인의 소유물을 처분한다는 비난을 면치 못한다. 이 학설은 다시 다음의 세 가지 학설로 나누어진다.轉質 , 전질기타레포트 ,
설명
다.
전질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Download : 전질.hwp( 82 )
Ⅰ. 의의 및 종류
Ⅱ. 책임전질
1. 성질
2. 성립요건
3. 효과(效果)
Ⅲ. 승낙전질
Ⅱ. 책임전질
1. 성질
책임전질이란 질권자가 질권설정자의 승낙 없이 오로지 자기의 책임으로 하는 전질로서, 그 성질에 관해서는 학설이 대립하고 있따 이에 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② 질물재입질설(신질권설정설)
이 설에 의하면 전질이란 질권자가 자기의 채권의 담보를 위하여 원질물을 전질권자에게 다시 입질하는, 즉 신질권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 전질권의 실행시에는 질권만을 매각하는 부당한 결과를 낳게 한다.
(2) 채권,질권 공동입질설
이 설에 의하면 전질이란 원질권자의 채권을 원질권과 함께 입질하는 것이라 한다.
(1) 단순입질설
이 설은 질권의 부종성을 완화하여 전질을 피담보채권으로부터 독립한 원질권 내지 질물을 다시 입질하는 것이라는 학설이다. 이 학설은 독일보통법시대에 주장되었던 학설로서 프랑스에서 유력한 학설이다.
③ 질권입질설
이것은 원질권자가 갖는 질권 자체를 전질권자에게 입질하는 것이라고 한다.
① 해제조건부 질권양도설
이 설에 의하면 민법 제336조의 전질이라는 것은 질권의 단독양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질권자의 질권자에 대한 채권이 변제 기타의 원인(原因)에 의하여 소멸하는 경우에는 질권은 당연히 원질권자에게 복귀하는 조건부 양도로 이해한다.
본 자료(data)는 우리나라 민법의 전질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