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의 유례와 범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0:50
본문
Download : ●간도의 유례와 범위.hwp
그러나 간도분쟁 당시에 우리 선조들이 생각하는 간도 명칭의 concept(개념)은 동으로는 토문강에서 송화강을 거쳐 흑룡강 이동의 연해주를 포함한 지역을 의미하였고, 서로는 압록강 대안을 포함하여 고구려의 영토였던 요양심양 일대(소위 심요선)까지 확대 해석하기 처음 하였다. 따라서 간도 범위는 산해관 이동에서 북쪽으로 유조변책을 따라 길림 북쪽의 송화강선으로 이어져 흑룡강 이동의 연해주를 포함한 지역이다.
이러한 현상은 두만강 대안의 동간도와 압록강 대안의 서간도 지역이 접한 곳이 바로 청과 조선이 약정한 봉금지역이었다.
간도분쟁의 성격
한중 간에 완전한 국경선을 결정하지 못한 근본 Cause 은 양국 간에 광활한 무인지대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도분쟁은 봉금지역인 무인지대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임과 동시에 한국, China, 러시아, Japan이 개입된 정치적 분쟁이다. 즉 요동 이동의 봉금지역에 대한 한족의 접근을 금지한 결과 무주지로 남아있었다. 따라서 두만강과 압록강 대안지역의 개간지역을 자연스레 간도라 부르게 된 것이다.●간도의 유례와 범위
간도의 유례와 범위
그 후 무산, 온성 사이의 주민이 도강하여 개간하는 자가 점차 급증하여 백두산 동쪽 기슭의 비옥한 토지는 개간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어 이를 모두 일컬어 간도(間島)라 불렀다. 그리고 간도의 범위는 두만강의 조그마한 삼각주에서 처음 하여 한민(韓民)이 개간한 곳은 모두 간도라 부르기 처음 하여 점차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아 간도는 백두산 동쪽과 두만강 대안을 동간도라 부르며, 압록강 대안지역과 송화강 상류지역의 백두산 서쪽을 서간도로 크게 구분된다
동간도는 노령산맥 이동을 동간도 동부, 노령산맥 이서를 동간도 서부라 부른다. 당시 청은 봉금지역에 대한 관할권이 미약한 상태였으며, 더구나 청 政府(정부)는 한족(漢族)의 산해관 이동의 출입을 엄금하였다.
2차에 걸친 한청 국경회…(생략(省略))






●간도,유례와,범위,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간도의 유례와 범위.hwp( 14 )
●간도의 유례와 범위
순서
설명
●간도의 유례와 범위 , ●간도의 유례와 범위인문사회레포트 , ●간도 유례와 범위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리 민족이 먼저 선점하여 개간을 처음 하였다. 동간도 동부가 소위 북간도이며 1909년 간도협약 체결 시에 한청인의 잡거구역으로 규정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