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14:43
본문
Download : 근육_1114859.hwp
감각신경섬유 역시 말이집에 의하여 싸여 있으며 근육의 힘살에서는 근육방추(muscular spindles), 힘줄에서는 힘줄방추(tendon spindles, Golgi tendon organ)를 각각 이루고 있다
척수의 앞뿔에 있는 신경세포로부터 나온 한 개의 운동신경과 그 지배 아래에 있는 근육섬유는 기능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고 있어 이것을 운동단위(motor unit)라고 한다. 근육으로 가는 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약 6 대 4 정도로 섞여 있고 일부 교감신경 섬유도 가지고 있는 혼합형이 신경줄기인데 운동신경은 근육이 수축할 수 있는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이고 감각신경은 근육의 내부 상태를 뇌로 알려주는 신경이며 교감신경은 근육에 와 있는 혈관을 움직여 혈액의 흐름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뼈대근의 신경
뼈대근 하나에는 최소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신경이 분포한다. 각각의 근육섬유는 하나의 종말신경가지를 받게 되는데 한 신경섬유가 닿는 근육섬유의 지점이 신경근육종말(neuromuscular terminal)이며 이 신경근육종말은 신경 축삭의 끝인 운동종판(motor end plate)과 이 종판의 잔가지가 닿고 있는 근육세포막(sarcolemma)의 작은 원반 모양의 바닥판(sole plate)으로 이루어진다. 신경이 근육으로 들어가는 지점은 대개의 경우 혈관과 함께 출입하게 되는 신경혈관문(neurovascular hilum)인데 이 곳은 그 위치가 근육운동을 할 때도 크게 변하지 않는 곳 즉 일반적으로는 힘살 중간 부분의 벽을 뚫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근육의 수축작용 때 신경 줄기가 방해가 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하나의 운동신경 섬유가 지배하는 근육섬유 수…(To be continued )
근육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mu322 , 근육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레포트
mu322
Download : 근육_1114859.hwp( 12 )
설명
다.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 섬유는 척수의 앞뿔(anterior horn)에 있는 운동신경 세포체에서 처음 된 것으로 말이집(수초 myelin)으로 싸여 있는 섬유가 근육다발막에 이르러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각 갈래가 근육섬유에 가서 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