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實驗(실험)] 관내 유동 實驗(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0:19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hwp
풍량 을 변화시키면서 實驗을 반복하여 결과를 기존 문헌에 나오는 오리피스 유량계수와 비교한다.
-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한 유량측정(測定) 원리를 이해하고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를 산정한다.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622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A%B4%80%EB%82%B4%20%EC%9C%A0%EB%8F%99%20%EC%8B%A4%ED%97%98-6220_01.jpg)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622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A%B4%80%EB%82%B4%20%EC%9C%A0%EB%8F%99%20%EC%8B%A4%ED%97%98-6220_02_.jpg)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622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A%B4%80%EB%82%B4%20%EC%9C%A0%EB%8F%99%20%EC%8B%A4%ED%97%98-6220_03_.jpg)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622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A%B4%80%EB%82%B4%20%EC%9C%A0%EB%8F%99%20%EC%8B%A4%ED%97%98-6220_04_.jpg)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622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A%B4%80%EB%82%B4%20%EC%9C%A0%EB%8F%99%20%EC%8B%A4%ED%97%98-6220_05_.jpg)
순서
: 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가장 간단하게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는 것으로 유량의 조절 ·측정(measurement) 등에 사용되며, 가공하기 쉬워 보통 원형으로 만든다.
[기계공학實驗(실험)] 관내 유동 實驗(실험)
< 벤츄리계 >
-보定義(정의) concept(개념)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hwp( 71 )
. 實驗(실험)목적
: 본 實驗에서는 오리피스 양단의 압력차로부터 理論(이론)적 유량측정(measurement)값을 구하고 피토관으로 구한 平均(평균)속도로부터 계산된 풍량을 기준으로 오리피스를 보정하여 유량계수 C를 산출한다. 지름 D인 유관 도중에 관의 지름 d(D>d)의 오리피스를 삽입하면, 그 직후에서 유속이 변화하여 압력이 떨어진다(베르누이의 요약). 오리피스의 바로 앞과 직후에서의 유체의 압력차를 검출함으로써 유량을 구할 수 있다아 또, 그것을 모니터로 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아
-보定義(정의) 과정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실험목적 - 피토관으로 관로내의 유속분포를 측정하여 중심속도와 평균속도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 피토관으로 관로내의 유속분포를 측정(測定) 하여 중심속도와 average(평균)속도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한 유량측정 원리를 이해하고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를 산정한다.
< 오리피스 유량계 >
: 베루누이 방정식(/2 + p/ = const. )으로부터 얻어지는 원리를 직집 응용해 유량을 측정(measurement)하는 것이 Venturi 계 이다. - 유량측정상의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오차분석을 수행한다. 2. 실험장치 원관의 직경 D=30mm, 오리피스 목의 직경 d1=23.2mm, 피토관의 외경 d2=3mm
기계공학실험,관내 유동 실험
2. 實驗(실험)장치
다.
: 實驗, 관측 또는 근사값 계산 따위에서 결과에 포함된 외부적 Cause 에 의한 오차를 없애고 참값에 가까운 값을 구하는 것.
설명
원관의 직경 D=30mm, 오리피스 목의 직경 d1=23.2mm, 피토관의 외경 d2=3mm
- 유량측정(測定) 상의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오차分析을 수행한다. <그림>과 같이 관로안으로 관경을 짜는 것으로 압력차이를 측정(measurement)하고 유량을 측정(measurement)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