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의 병충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20:24
본문
Download : 배추의 병충해.hwp
전염은 작업 중에 토양의 이동과 침수에 의한 물의 이동에 의 해서 확대된다 식물체 감염은 유주자로 이루어진다. 본포에는 소석회를 뿌려 토양산도를 pH 7.0이상으로 조절하면 어느 정도 발병을 줄일 수 있다아 토양중에 퇴비를 시용하면 퇴 비 자체가 무사마귀병 발생을 억제하지 못해도 식물체가 강건하게 되므 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아 무엇보다도 저항…(To be continued )
,생활전문,레포트
설명
다. 배추 재배시 저습지를 피하고 이랑을 높여서 배수가 잘 되게 한다. 발병 적온은 14 - 25℃이고, 일장시간이 13 - 16시간으로 길어질수록, 토양이 산성이고 수 분이 많아질수록 더욱 발병이 잘 된다 그러나 토양이 중성 및 알카리성 일 때와 토양 수분이 45%이하일 경우에는 발병하지 않는다. 가을 철 직파재배시 발병이 심하면 파종 시기를 늦추어 발병 적온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제방법 최소한 3년간은 십자화과 채소를 심지 말고 시금치, 양상추, 양파, 고 추, 가지 및 옥수수 등으로 윤작을 실시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낮춘다. 유묘기에 감염되어 3~5주 지나면 잎은 담록색 내지 황색으로 변하고 뿌리는 유리구슬 정도의 혹이 생기게 되므로 식물체는 위축된다 포장에서 어느 정도 자란 후 감염되면 기온이 높은 한낮에는 시들어 있다가 아침 저녁에는 회복된다 이러한 증상이 1~2주 경과하다 결국 포기 전체가 완전히 시들어 수확할 수 없게 되는데 혹의 크기는 주먹크기만하다. 토양 중에 포자의 농도가 높을수록, 즉 1,000개/토양1g이상 되면 혹이 크게 생긴다.
전염경로 및
발병조건 병원균의 포자는 흙 속에서 기주식물 없이도 7 - 8년간 살 수 있는데, 주로 토양 중 얕은 부분에 분포하지만 30 - 40cm 아래 깊은 곳에서도 생존한다.영 명 Clubroot
제 목 무사마귀병(근류병)
분 류 ...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배추의 병충해.hwp( 77 )
제 목 무사마귀병(근류병) 영 명 Clubroot 학 명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분 류 ... , 배추의 병충해생활전문레포트 ,
순서






배추의 병충해
학 명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제 목 무사마귀병(근류병)
영 명 Clubroot
학 명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분 류 병해
병원균 및
병 징 병원균은 곰팡이의 일종이지만 균사체가 없고 유주자가 식물의 뿌리에 침입하여 발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