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1:32
본문
Download :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_5041338.hwp
1. 해고 처분의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2. 정당한 쟁의행위의 한계를 벗어난 경우
3. 무단결근 및 상사에 대한 욕설과 폭행의 경우
4. 학력 및 경력기재 누락을 징계사유로 한 해고
1. 해고 처분의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 근로자에 대한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비록 사용자가 근로자의 조합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긴 흔적이 있다거나 사용자에게 반노동조합의사가 추정된다고 하더라도 당해 불이익처분의 사유가 단순히 표면상의 구실에 불과하다고 할 수는 없어 그와 같은 불이익처분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해고가부당노동행위로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
Download :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_5041338.hwp( 58 )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를 조사하였습니다.해고가부당노동행위로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 ,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다.
임금협상을 위한 단체협상기간 중 개최된 노사간담회에서 회사간부에게 폭언하고, 물컵을 던지고, 휴지꽂이로 안면을 가격하여 4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가한 노동조합위원장에 대한 징계파면은 정당하다.
근로자에 대한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비록 사용자가 근로자의 조합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긴 흔적이 있다거나 사용자에게 반노동조합의사가 추정된다고 하더라도 당해 불이익처분의 사유가 단순히 …(skip)






순서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해고가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를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