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법전 증보의 배경과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4:43
본문
Download : 조선후기 법전 증보의 배경과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hwp
간행을 목적으로 한 초안인 듯, 자행을 맞추어 정서된 필사본이 남아 있으나, 간행되지는 못하였다. 증보전록통고는 신보수교집록이 편찬된 1738년(영조 14)에서 속대전이 편찬되는 1746년(영조 22)사이에 찬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법령들을 통속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통고류의 속성에 따라 전록통고이후 공포된 수교, 다시 말해서 신보수교집록의 내용을 추가하여 수록할 목적으로 찬집되었다. 증보전록통고는 신보수교집록이 편찬된 1738년(영조 14)에서 속대전이 편찬되는 17... , 조선후기 법전 증보의 배경과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다. 증보전록통고는 신보수교집록이 편찬된 1738년(영조 14)에서 속대전이 편찬되는 17...
전록통고의 뒤를 잇는 ‘통고’류의 법전이 증보전록통고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편찬된 것이 속대전이라고 할 수 있다 속대전은 1740년(영조 16)부터 편찬 작업에 착수하여 1744년(영조 20)에 편찬이 완료되고, 다시 부분적으로 교정, 검토하여 1746년(영조 22)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숙종에서 영조 연간에는 이렇게 속록-집록류 편찬의 흐름과 통고류 편찬의 흐름이 함께 진행되고 있었던 바, 이 두 흐름은 결국 대전으로 종합되어야 할 것이었다. 그러나 속대전은 대전이라는 이름이 붙기는 하였으나, 경국대전과 삼록, 그리고 전록통고, 증보전록통고등을 통속한 종합 법전은 아니라는 점을…(drop)
조선후기 법전 증보의 배경과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
순서
설명
전록통고의 뒤를 잇는 ‘통고’류의 법전이 증보전록통고이다. 이렇게 추가된 조항에는 ‘신보수교’라고 표시하였다.
Download : 조선후기 법전 증보의 배경과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hwp( 93 )
전록통고의 뒤를 잇는 ‘통고’류의 법전이 증보전록통고이다.